미국의 ATACMS 허용, 러시아 "3차 세계대전 우려" 강력 반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를 사용해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으로 알려지자, 러시아 정치권이 강력히 반발하며 "3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시아 정치권의 반응: "즉각 대응"
17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제문제위원회 부위원장 블라디미르 자바로프는 “이번 결정은 3차 세계대전의 시작으로 이어질 수 있는 큰 발걸음”이라며 "러시아가 즉각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안드레이 클리샤스 러시아 상원 헌법위원회 위원장은 텔레그램을 통해 “서방이 우크라이나를 통해 러시아의 자주권을 완전히 폐허로 만들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미국, 에이태큼스로 러시아 본토 공격 허용
미국의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우크라이나가 꾸준히 요청해 온 에이태큼스 사용을 제한했던 기존 입장에서 정책을 변경한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본토 표적에 대한 에이태큼스 사용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 ATACMS(에이태큼스): 사거리가 약 300km에 달하는 미국산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로,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을 통해 발사됩니다.
- 우크라이나는 수일 내로 에이태큼스를 사용한 첫 장거리 타격을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크렘린궁과 푸틴 대통령의 경고
크렘린궁은 이번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으나, 마리아 자카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의 과거 발언을 언급하며 경고의 의미를 시사했습니다.
지난 9월, 푸틴 대통령은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영토 타격을 허용한다면 이는 곧 러시아와 전쟁 중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한 바 있습니다.
크림반도 공격과 러시아의 반응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6월 에이태큼스를 사용해 크림반도를 공격했을 때, 러시아는 자국 주재 미국 대사를 초치하며 강력히 항의한 바 있습니다. 당시 크림반도는 2014년 러시아가 강제 병합한 지역으로, 러시아 본토로 간주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번 결정은 크림반도 공격과는 달리, 러시아 본토를 정조준할 수 있는 허용 조치라는 점에서 더욱 민감한 사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존 정책 변화
미국은 그동안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에이태큼스 같은 장거리 미사일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었으나, 이번 정책 변화는 우크라이나의 방어 능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 지난 5월부터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 및 중거리 유도 다연장로켓시스템(GMLRS) 사용을 허용하며 방어를 지원해왔습니다.
- 그러나 에이태큼스를 통한 본토 타격은 처음으로 허용된 사례입니다.
향후 전망
이번 조치로 인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강력한 공격 옵션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는 러시아와 서방 간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러시아가 이를 어떻게 대응할지와, 미국 및 NATO 동맹국들이 이로 인한 추가적 외교적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갈지는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에이태큼스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미국정책 #조바이든 #푸틴 #국제외교 #장거리미사일 #러시아본토 #3차세계대전